顯高祖考學生府君神位 (현고조고학생부군신위)
顯高祖妣孫氏神位 (현고조비유인손씨신위)
顯曾祖考學生府君神位 (현증조고학생부군신위)
顯曾祖妣孫氏神位 (현증조비유인손씨신위)
顯祖考學生府君神位 (현조고학생부군신위)
顯祖妣孫氏神位 (현조비유인손씨신위)
顯考學生府君神位 (현고학생부군신위)
顯妣孫氏神位 (현비유인손씨신위)
顯辟學生府君神位 (현벽학생부군신위)
亡室孫氏神位 (망실유인손씨신위)
顯兄學生府君神位 (현형학생부군신위)
顯兄嫂孫氏神位 (현형수유인손씨신위)
亡弟學生이름神位 (망제학생이름신위)
亡弟嫂孫氏神位 (망제수유인손씨신위)
亡子孫이름之靈 (망자손이름지령)
亡婦孫氏之靈 (망부유인손씨지령)
維歲次 ① ② 月 ③ 朔 ④ 日 ⑤ 僉親 ⑥ 官 ⑦ 謹以淸酌
유세차 ① ② 월 ③ 삭 ④ 일 ⑤ 첨친 ⑥ 관 ⑦ 근이청작
庶羞之奠 致祭于 ⑧ 親 ⑨ 官 ⑩ 公之柩 尙嚮
서수지전 치제우 ⑧ 친 ⑨ 관 ⑩ 공지구 상향
①에는 그 해의 간지(刊支) 이름을 넣는다.
②에는 그 달의 수를 <예 “1월, “2월”>
③에는 그 달의 간지 이름을 넣는다.
④에는 그 달의 일자를 넣는다.
⑤에는 그날의 간지이름을 넣는다.
⑥⑦에는 축문을 읽는 자의 벼슬과 이름을 넣는다.
⑧에는 제주의 이름을 넣고, ⑨⑩에는 고인의 이름(성)을 넣는다.
①의 해 ②의 달 ③ ④ 의 날 ⑤에 아무 보잘것 없는 ⑥의 벼슬을 한 ⑦이 삼가 맑은 술과 맛있는 음식과 전으로써 제를 올리오니 ⑧의 어버이 ⑨ ⑩은 많이 드소서.
維歲次 ① ② 月 ③ 朔 ④ 日 ⑤ ⑥ 子 상주이름 敢昭告于 顯 考 ⑦
유세차 ① ② 월 ③ 삭 ④ 일 ⑤ ⑥ 자 상주이름 감소고우 현 고 ⑦
日月不居 奄及成服 哀慕不寧 謹以淸酌 庶羞哀薦 服事 尙饗
일월불거 엄급성복 애모불영 근이청작 서수애천 복사 상향
① ② ③ ④ ⑤는 위의 축문과 동일하다.
⑥에는 양부모 모두 돌아가신 경우 → 孤哀子(고애자),
아버지만 돌아가신 경우 → 孤子(고자),
어머니만 돌아가신 경우 → 哀子(애자)를 사용한다.
⑦에는 지방쓰는 법을 참고한다.
예)아버지 : 현고학생부군신위
서기 OOOO년 O월 O일 고자는 OO벼슬하신 아버님께 고합니다. 세월이 흘러 성복이 되었사오니 일찍이 서러운 생각에 마음이 편치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음식으로 슬프게 성복날 천신을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今以吉辰 遷柩敢告
금이길진 천구간고
오늘이 좋은 날이므로 널(관)을 옮기고자 합니다.
請朝于祖
청조우조
할아버지 뵙길 청합니다.
今遷柩就與 敢告
금천구취여 감고
이제 널(관)을 옮겨 상여(운구차)로 나가매 감히 고하나이다.
靈輀旣駕 往卽幽宅 載陣遣禮 永決終天
영이기가 왕즉유택 재진견례 영결종천
이제 널(관)을 옮겨 상여(운구차)로 나가매 감히 고하나이다.
이제 운구를 OO님의 유택으로 마련한 곳으로 모시고자 합니다. 이제 저희들과는 이 세상에서 다시 뵙지 못하는 영원한 이별을 고하오니 평안히 영면하소서.
今已得地於 ①郡 ②里 ③ 坐之原 將以 ④ 月 ⑤ 日 襄奉 敢告
금이득지어 ①군 ②리 ③ 좌지원 장이 ④ 월 ⑤ 일 양봉 감고
①묘지가 위치한 평정군(郡)의 이름
②묘지가 위치한 행정부락의 이름
③묘지가 설치될 좌향(방위로 해도 무방하다)
④ ⑤ 장사 지내고자 하는 달과 날의 이름
이미 땅을 ① 군 ② 마을 ③의 방위에 장차 ④ 월 ⑤ 일에 장사 지내게 됨을 감히 고합니다.
維歲次 ① ② 月 ③朔 ④日 ⑤⑥官 ⑦ 敢昭告于 土地之神 今爲 ⑧ 官 ⑨
유세차 ① ② 월 ③삭 ④일 ⑤⑥관 ⑦ 감소고우 토지지신 금위 ⑧ 관 ⑨
營建宅兆 神其保佑 俾無後艱 謹以淸酌脯醯 祗薦于 神尙 饗
영건택조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청작포혜 지천우 신상 향
①축문을 읽는 해의 간지(干支)이름
②해당 월의 수
③해당 월의 간지이름
④해당 일의 수
⑤해당 월의 간지 이름
⑥축문 읽는 자의 관직
⑦이름
⑧고인의 관직
⑨고인의 이름(성)
서기 OOOO년 O월 O일에 ⑥ 의 관직을 하고 있는 ⑦이 감히 고합니다. 토지 신이여 ⑧의 관직을 하신 ⑨의 광중을 세웁니다. 신께서 보호하고 도와주사 후환이 없도록 지켜주소서. 삼가 맑은 술과 포혜로써 공경하오니 받아주소서
OOOO년 O월 O일 남편 OO은 당신의 영 앞에 고합니다. 이곳에 유택을 마련하였으니 고이 잠드소서 길이 명복을 누리소서.
維歲次 ① ② 月 ③ ④ 日 ⑤ ⑥ 親 ⑦ 敢昭告于 顯 ⑧ 親 ⑨ 官府君之墓
유세차 ① ② 월 ③ ④ 일 ⑤ ⑥ 친 ⑦ 감소고우 현 ⑧ 친 ⑨ 관부군지묘
今爲孫 ⑩ 官營建宅兆 ⑪于所 謹以酒果 用伸虔告謹告
금위손 ⑩ 관영건택조 ⑪우소 근이주과 용신호고근고
축문과 같이 ① ~ ⑤ 를 쓴다.
⑧ ⑨ 와의 관계
⑨ 제를 올리는 묘의 주인공의 벼슬이나 ⑧ 과 관계
⑩ 고인의 이름, 벼슬 등을 쓴다.
⑦ ⑥ 과의 관계
⑥ ⑨ 또는 고인과의 관계
⑩ 경우 내상(內喪)이면 O封O氏 라고 쓴다.
⑪ 어느 곳에
O년 O월 O일 OOO은 삼가 OOO의 묘소에 알릴 일이 있어 삼가 아룁니다. 이제 OOO님의 OOO되시는 OOO님의 묘소를 가까이에 세우고자 하여 음식을 차려 놓고 정성으로 고합니다.
維歲次 ① ② 月 ③ ④ 日 ⑤⑥ 官 ⑦ 敢昭告于
유세차 ① ② 월 ③ ④ 일 ⑤⑥ 관 ⑦ 감소고우
土地之神 今爲 ⑧ 官 封諡 ⑨ 窆玆幽宅 神基保佑 俾無後艱 謹以淸酌脯醯
토지지신 금위 ⑧ 관 봉시 ⑨ 폄자유택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청작포혜
祗薦于 神 尙 饗
지천우 신 상 향
⑥ ⑦ 은 축을 읽는자.
⑧ ⑨ 는 고인을 넣어 쓴다.
① 해 ② ③ 달 ④ ⑤ 일에 ⑥ 벼슬한 ⑦ 이 토지신께 고합니다. 이재 ⑧ 의 벼슬을 한 ⑨ 무덤을 여기에 정하오니 신께서 보호하사 뒤에 근심이 없게 하소서. 삼가 술과 포혜로써 공경하여 올리오니 흠향하소서
維歲次 ① ② 月 ③ 朔 ④ 日 ⑤
유세차 ① ② 월 ③ 삭 ④ 일 ⑤
⑥ 官 ⑦ 敢昭告于 土地之神 今爲○ㄱ ⑧ ⑨ 親 ⑩ 官○ㄴ
⑥ 관 ⑦ 감소고우 토지지신 금위○ㄱ ⑧ ⑨ 친 ⑩ 관○ㄴ
宅兆不利 將改 葬于此 神基保佑 俾無後艱 謹以淸酌脯醯 祗薦于神 尙 饗
택조불리 장개 장우차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청작포혜 지천우신 상 향
ㄱ ⑧에 “O官O氏(성명)O之”을 붙임.
ㄴ 주인이 고할 때는 “O親O官府君”이라 하고, 어머니의 경우 “O封O氏”로 한다.
① 의 해 ② ③ 의 달 ④ ⑤ 의 날 ⑥ 의 벼슬을 하는 ⑦이 토지신께 감히 고하나이다. 이제 ⑧ 이 ⑩ 의 벼슬을 한 ⑨ 의 무덤이 나빠서 장차 개장하려 합니다. 신은 그를 보호하시어 후환이 없게 하소서.
維歲次 ① ②月 ③ 朔 ④ 日 ⑤ 孤哀子 ⑥ 敢昭 告于 顯考 ⑦ 官府君 之墓 ⑧ 罪逆凶痕
유세차 ① ②월 ③ 삭 ④ 일 ⑤ 고애자 ⑥ 감소 고우 현고 ⑦ 관부군 지묘 ⑧ 죄역흉흔
先妣見背 日月不居 葬期已屈將以 ⑨ 月 ⑩ 日 祔 于墓左
선비견배 일월불거 장기이굴장이 ⑨ 월 ⑩ 일 부 우묘좌
昊天罔極 謹以 酒果 用伸 虔告 謹告
호천망극 근이 주과 용신 건고 근고
① 의 해 ②③ 달 ④⑤ 일에 자식은 고합니다. ⑧은 죄가 많아 어머님OOO의 돌아가심을 뵙게됬습니다. 세월이 흘러 장일이 되었으므로 장차 ⑨월 ⑩일에 묘원 OOO편에 모시겠사온바 은혜가 망극하옵기에 삼가 주과를 펴놓고 정성껏 고하나이다.
顯高祖考學生府君神位 (현고조고학생부군신위)
顯高祖妣孫氏神位 (현고조비유인손씨신위)
顯曾祖考學生府君神位 (현증조고학생부군신위)
顯曾祖妣孫氏神位 (현증조비유인손씨신위)
顯祖考學生府君神位 (현조고학생부군신위)
顯祖妣孫氏神位 (현조비유인손씨신위)
顯考學生府君神位 (현고학생부군신위)
顯妣孫氏神位 (현비유인손씨신위)
顯辟學生府君神位 (현벽학생부군신위)
亡室孫氏神位 (망실유인손씨신위)
顯兄學生府君神位 (현형학생부군신위)
顯兄嫂孫氏神位 (현형수유인손씨신위)
亡弟學生이름神位 (망제학생이름신위)
亡弟嫂孫氏神位 (망제수유인손씨신위)
亡子孫이름之靈 (망자손이름지령)
亡婦孫氏之靈 (망부유인손씨지령)
維歲次 ① ② 月 ③ 朔 ④ 日 ⑤ 僉親 ⑥ 官 ⑦ 謹以淸酌
유세차 ① ② 월 ③ 삭 ④ 일 ⑤ 첨친 ⑥ 관 ⑦ 근이청작
庶羞之奠 致祭于 ⑧ 親 ⑨ 官 ⑩ 公之柩 尙嚮
서수지전 치제우 ⑧ 친 ⑨ 관 ⑩ 공지구 상향
①에는 그 해의 간지(刊支) 이름을 넣는다.
②에는 그 달의 수를 <예 “1월, “2월”>
③에는 그 달의 간지 이름을 넣는다.
④에는 그 달의 일자를 넣는다.
⑤에는 그날의 간지이름을 넣는다.
⑥⑦에는 축문을 읽는 자의 벼슬과 이름을 넣는다.
⑧에는 제주의 이름을 넣고, ⑨⑩에는 고인의 이름(성)을 넣는다.
①의 해 ②의 달 ③ ④ 의 날 ⑤에 아무 보잘것 없는 ⑥의 벼슬을 한 ⑦이 삼가 맑은 술과 맛있는 음식과 전으로써 제를 올리오니 ⑧의 어버이 ⑨ ⑩은 많이 드소서.
維歲次 ① ② 月 ③ 朔 ④ 日 ⑤ ⑥ 子 상주이름 敢昭告于 顯 考 ⑦
유세차 ① ② 월 ③ 삭 ④ 일 ⑤ ⑥ 자 상주이름 감소고우 현 고 ⑦
日月不居 奄及成服 哀慕不寧 謹以淸酌 庶羞哀薦 服事 尙饗
일월불거 엄급성복 애모불영 근이청작 서수애천 복사 상향
① ② ③ ④ ⑤는 위의 축문과 동일하다.
⑥에는 양부모 모두 돌아가신 경우 → 孤哀子(고애자),
아버지만 돌아가신 경우 → 孤子(고자),
어머니만 돌아가신 경우 → 哀子(애자)를 사용한다.
⑦에는 지방쓰는 법을 참고한다.
예)아버지 : 현고학생부군신위
서기 OOOO년 O월 O일 고자는 OO벼슬하신 아버님께 고합니다. 세월이 흘러 성복이 되었사오니 일찍이 서러운 생각에 마음이 편치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음식으로 슬프게 성복날 천신을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今以吉辰 遷柩敢告
금이길진 천구간고
오늘이 좋은 날이므로 널(관)을 옮기고자 합니다.
請朝于祖
청조우조
할아버지 뵙길 청합니다.
今遷柩就與 敢告
금천구취여 감고
이제 널(관)을 옮겨 상여(운구차)로 나가매 감히 고하나이다.
靈輀旣駕 往卽幽宅 載陣遣禮 永決終天
영이기가 왕즉유택 재진견례 영결종천
이제 널(관)을 옮겨 상여(운구차)로 나가매 감히 고하나이다.
이제 운구를 OO님의 유택으로 마련한 곳으로 모시고자 합니다. 이제 저희들과는 이 세상에서 다시 뵙지 못하는 영원한 이별을 고하오니 평안히 영면하소서.
今已得地於 ①郡 ②里 ③ 坐之原 將以 ④ 月 ⑤ 日 襄奉 敢告
금이득지어 ①군 ②리 ③ 좌지원 장이 ④ 월 ⑤ 일 양봉 감고
①묘지가 위치한 평정군(郡)의 이름
②묘지가 위치한 행정부락의 이름
③묘지가 설치될 좌향(방위로 해도 무방하다)
④ ⑤ 장사 지내고자 하는 달과 날의 이름
이미 땅을 ① 군 ② 마을 ③의 방위에 장차 ④ 월 ⑤ 일에 장사 지내게 됨을 감히 고합니다.
維歲次 ① ② 月 ③朔 ④日 ⑤⑥官 ⑦ 敢昭告于 土地之神 今爲 ⑧ 官 ⑨
유세차 ① ② 월 ③삭 ④일 ⑤⑥관 ⑦ 감소고우 토지지신 금위 ⑧ 관 ⑨
營建宅兆 神其保佑 俾無後艱 謹以淸酌脯醯 祗薦于 神尙 饗
영건택조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청작포혜 지천우 신상 향
①축문을 읽는 해의 간지(干支)이름
②해당 월의 수
③해당 월의 간지이름
④해당 일의 수
⑤해당 월의 간지 이름
⑥축문 읽는 자의 관직
⑦이름
⑧고인의 관직
⑨고인의 이름(성)
서기 OOOO년 O월 O일에 ⑥ 의 관직을 하고 있는 ⑦이 감히 고합니다. 토지 신이여 ⑧의 관직을 하신 ⑨의 광중을 세웁니다. 신께서 보호하고 도와주사 후환이 없도록 지켜주소서. 삼가 맑은 술과 포혜로써 공경하오니 받아주소서
OOOO년 O월 O일 남편 OO은 당신의 영 앞에 고합니다. 이곳에 유택을 마련하였으니 고이 잠드소서 길이 명복을 누리소서.
維歲次 ① ② 月 ③ ④ 日 ⑤ ⑥ 親 ⑦ 敢昭告于 顯 ⑧ 親 ⑨ 官府君之墓
유세차 ① ② 월 ③ ④ 일 ⑤ ⑥ 친 ⑦ 감소고우 현 ⑧ 친 ⑨ 관부군지묘
今爲孫 ⑩ 官營建宅兆 ⑪于所 謹以酒果 用伸虔告謹告
금위손 ⑩ 관영건택조 ⑪우소 근이주과 용신호고근고
축문과 같이 ① ~ ⑤ 를 쓴다.
⑧ ⑨ 와의 관계
⑨ 제를 올리는 묘의 주인공의 벼슬이나 ⑧ 과 관계
⑩ 고인의 이름, 벼슬 등을 쓴다.
⑦ ⑥ 과의 관계
⑥ ⑨ 또는 고인과의 관계
⑩ 경우 내상(內喪)이면 O封O氏 라고 쓴다.
⑪ 어느 곳에
O년 O월 O일 OOO은 삼가 OOO의 묘소에 알릴 일이 있어 삼가 아룁니다. 이제 OOO님의 OOO되시는 OOO님의 묘소를 가까이에 세우고자 하여 음식을 차려 놓고 정성으로 고합니다.
維歲次 ① ② 月 ③ ④ 日 ⑤⑥ 官 ⑦ 敢昭告于
유세차 ① ② 월 ③ ④ 일 ⑤⑥ 관 ⑦ 감소고우
土地之神 今爲 ⑧ 官 封諡 ⑨ 窆玆幽宅 神基保佑 俾無後艱 謹以淸酌脯醯
토지지신 금위 ⑧ 관 봉시 ⑨ 폄자유택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청작포혜
祗薦于 神 尙 饗
지천우 신 상 향
⑥ ⑦ 은 축을 읽는자.
⑧ ⑨ 는 고인을 넣어 쓴다.
① 해 ② ③ 달 ④ ⑤ 일에 ⑥ 벼슬한 ⑦ 이 토지신께 고합니다. 이재 ⑧ 의 벼슬을 한 ⑨ 무덤을 여기에 정하오니 신께서 보호하사 뒤에 근심이 없게 하소서. 삼가 술과 포혜로써 공경하여 올리오니 흠향하소서
維歲次 ① ② 月 ③ 朔 ④ 日 ⑤
유세차 ① ② 월 ③ 삭 ④ 일 ⑤
⑥ 官 ⑦ 敢昭告于 土地之神 今爲○ㄱ ⑧ ⑨ 親 ⑩ 官○ㄴ
⑥ 관 ⑦ 감소고우 토지지신 금위○ㄱ ⑧ ⑨ 친 ⑩ 관○ㄴ
宅兆不利 將改 葬于此 神基保佑 俾無後艱 謹以淸酌脯醯 祗薦于神 尙 饗
택조불리 장개 장우차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청작포혜 지천우신 상 향
ㄱ ⑧에 “O官O氏(성명)O之”을 붙임.
ㄴ 주인이 고할 때는 “O親O官府君”이라 하고, 어머니의 경우 “O封O氏”로 한다.
① 의 해 ② ③ 의 달 ④ ⑤ 의 날 ⑥ 의 벼슬을 하는 ⑦이 토지신께 감히 고하나이다. 이제 ⑧ 이 ⑩ 의 벼슬을 한 ⑨ 의 무덤이 나빠서 장차 개장하려 합니다. 신은 그를 보호하시어 후환이 없게 하소서.
維歲次 ① ②月 ③ 朔 ④ 日 ⑤ 孤哀子 ⑥ 敢昭 告于 顯考 ⑦ 官府君 之墓 ⑧ 罪逆凶痕
유세차 ① ②월 ③ 삭 ④ 일 ⑤ 고애자 ⑥ 감소 고우 현고 ⑦ 관부군 지묘 ⑧ 죄역흉흔
先妣見背 日月不居 葬期已屈將以 ⑨ 月 ⑩ 日 祔 于墓左
선비견배 일월불거 장기이굴장이 ⑨ 월 ⑩ 일 부 우묘좌
昊天罔極 謹以 酒果 用伸 虔告 謹告
호천망극 근이 주과 용신 건고 근고
① 의 해 ②③ 달 ④⑤ 일에 자식은 고합니다. ⑧은 죄가 많아 어머님OOO의 돌아가심을 뵙게됬습니다. 세월이 흘러 장일이 되었으므로 장차 ⑨월 ⑩일에 묘원 OOO편에 모시겠사온바 은혜가 망극하옵기에 삼가 주과를 펴놓고 정성껏 고하나이다.